-
최악의 산불 피해와 인간안보평화갈등 이야기 /평화 2025. 3. 28. 15:07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시작된 산불은 시간당 8.2킬로미터 속도로 확산했다. 28일 오전 5시 기준으로 산불 피해 면적은 총 4만 5,157헥타르에 달한다. 2000년 동해안 산불 피해 면적인 2만 3,794헥타르의 거의 두 배 수준이다.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 때문에 산불은 산림당국조차 예상하지 못한 수준과 범위로 확산했다. 인명 피해도 최대다. 28일 오전 6시 기준으로 사망 28명, 중상 9명, 경상 28명 등으로 총 65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이번 산불은 자연재해가 얼마나 무서운지를 새삼 알려주고 있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자연재해에 대한 국가의 대응 능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도 다시금 알려주고 있다. 이번 산불로 다시 대응 장비와 인력의 문제가 언급되고 있다. 특히 2019년 강원도 ..
-
민감국가 지정과 비핵화의 비현실성, 핵무장의 현실성?평화갈등 이야기 /한반도평화 & 평화통일 2025. 3. 20. 11:28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을 놓고 원인에 대한 이런저런 얘기가 나오고 있다. 핵심은 누구도 확실한 이유를 모른다는 것이다. 정부는 맨 처음 제기된 이유인 윤석렬 대통령과 일부 여당 정치인들, 그리고 일부 북한 연구자들의 자체 핵무장 주장 때문이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외교부는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 보안 관련 문제가 이유라고 주장했지만 이 또한 확실히 확인된 것이 아니라 추측일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여전히 많은 언론과 정치인들은 현 정부 들어서 누적된 핵무장론을 가장 합리적인 이유로 주장하고 있다. 핵무장론은 윤석렬 정부가 들어서고 난 뒤 확산했다 대통령의 핵무장 가능성 언급에 고무된 것인지 이에 동조하고 핵무장을 주장하는 토론회가 많이 열리기도 했다. 민감국가로 지정된 이유가 여전히..
-
<김종배의 시선집중> 진보-보수 갈등 출연활동 소식 2025. 3. 19. 09:06
2025년 3월 8일 에 출연해 대통령 탄핵을 둘러싸고 진행 중인 우리 사회의 갈등에 대해 얘기하는 시간을 가졌다.모두가 심각성을 인정하고 있지만 현재 가장 심각한 일은 사회갈등을 관리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주체가 없다는 점이다. 정부도, 정당들도, 정치인들도 모두 손을 놓고 있고 다른 한편 갈등을 악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사실 정부, 정당들, 정치인들은 수십 년 동안 이념갈등을 방치했고 현재의 상황에 이르게 했다. 다시듣기는 다시듣기와 유튜브에서 가능하다.
-
흔들리는 공존의 세계: 선진국의 구호개발 지원 축소평화갈등 이야기 /국제평화 2025. 3. 5. 09:49
지난 2월 27일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미국 국제개발국(USAID/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직원들은 사무실에 잠깐 출입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이들은 허락된 15분 동안 사무실을 정리하고 박스에 개인 소지품을 챙겨 오래된 직장을 떠났다. 이들은 세계 곳곳에서 해고된 직원 수천 명 중 일부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명령을 받은 세계 최고의 갑부 일론 머스크는 미국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6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USAID를 식물상태로 만드는 결정을 했다. USAID,의 모든 사업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키고 점검을 한 미국 정부는 결국 92%의 사업을 없애고 4,100개 사업을 축소하기로 결정했다. 미 국무부는 이로써 약 600억 달러(약 87조 원)를 ..
-
대통령 탄핵을 둘러싼 사회갈등평화갈등 이야기 /갈등해결 2025. 2. 27. 09:48
지난 2월 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사회갈등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진보와 보수 간 갈등이 심각하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의 원자료는 2023년 6-8월 19-75세 남녀 3,950명을 면접 조사한 결과인 ‘2023년 사회통합 실태조사’였다. 보고서는 원자료에 기반해 응답자 중 92.3%가 진보와 보수 간 갈등이 심한 것으로 답했다고 밝혔다. 이날 주요 신문은 모두 이 기사를 실었다. 하지만 이건 새로운 뉴스가 아니다. 우리 사회에 정치적 이념과 입장에 따른 사회갈등이 심하다는 건 이미 잘 알려진 일이고 이는 오랫동안 수치를 통해 확인되어왔다. 지난 1월 22일 발표된 한국인의 공공갈등 의식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2.6%가 ‘우리 사회 집단 간 갈등이 ‘심각..
-
미래 세대를 위한 세계시민 이야기정주진의 책 2025. 2. 13. 11:36
저자의 말 우리의 일상과 세계를 떼어놓는 건 불가능하다. 우리의 일상은 세계에, 세계는 우리의 일상에 영향을 미친다.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 우리도, 모든 세계인도 안전하고 행복하고 평화롭게 살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 거의 정반대 상황에 직면해 있다. 우리 사회의, 그리고 세계의 많은 사람이 각자의 이익만 생각하고 세계가 직면한 공동의 문제를 외면하면서 결국 모두에게 안전하지도 평화롭지도 않은 세계를 만들고 있다.이 책은 세계시민이라면 반드시 관심을 가져야 할 옷 쓰레기, 과잉 관광, 기후변화, 빈곤, 전쟁, 이주민과 난민, 소득 불평등 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문제들에 아예 관심을 가지지 않거나, 또는 문제를 알지만 개선을 위해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아도 당장 큰일이 생기지는 않는다..
-
미래 세대를 위한 평화통일 이야기정주진의 책 2025. 2. 11. 14:44
저자의 말 남북관계는 최악이고 한반도 평화는 잊혀지고 있다. 그럼에도 평화통일은 여전히 우리 사회의 가장 중요한 현안 중 하나다. 이제는 남북관계, 한반도 평화, 평화통일 문제에 다른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자기 편의 주장만이 아니라 다른 편의 주장에도 귀를 기울여야 하고 다양한 주장을 알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남북관계를 악화시키고 한반도 평화를 요원하게 만들고 평화통일 담론을 비현실적인 것으로 만드는 가장 큰 원인은 우리 사회 안의 대결이고 남남갈등이기 때문이다.우리 모두의 평화로운 현재와 미래를 위해 우리 안의 갈등을 완화하고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가야 한다. 그래서 이 책은 남북관계와 관련된 상반되는 주장들, 민감하지만 현실적인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미래세대가 이런 문제들을 새로운 태도와 ..
-
공격 사회-비난과 조롱에 익숙해지다정주진의 책 2025. 2. 11. 14:42
저자의 말 이 책은 우리 사회에서 많은 사람의 공격을 받았던 사건들을 다루고 있다. 사건들을 살펴보며 공격이 왜, 어떻게 이뤄졌으며 누가 어떤 피해를 입었는지에 주목한다. 그 다음에는 공격의 논리를 차근차근 해부하는데 집중한다. 공격에 맞서 소리를 지르며 싸우기보다 공격의 비논리성을 따져보고 공격에 대응하는 논리를 생각해보는 게 이 책의 목표다. 이 책을 쓰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비난과 조롱'에 익숙해지는 걸 거부할 필요성에 대해, 그리고 거부하기 위해 생각의 지평을 어떻게 넓힐 수 있을지 독자들과 고민해보기 위해서다. 출판사 서평 왜 피해자와 약자를 혐오하고 공격하는가?이 책은 장애, 참사 피해자, 빈곤, 난민, 노동조합, 외국인 노동자, 탈북민, 기후변화, 젠더 갈등 등 아홉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
-
평화학: 평화적 공존을 위한 이론과 실행정주진의 책 2025. 2. 11. 14:37
2022년 9월 26일 출간저자의 말 평화학은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생소한 학문이다. 이 책은 평화학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에게 평화학의 기본 이론, 그리고 현장 실행의 기본 접근과 원칙 등을 소개하는 개론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평화학에 대한 한국사회의 이해, 그리고 평화적 공존의 실현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쓴 책이기도 하다. 학술서이자 일반 교양서로 연구자들과 시민사회 활동가들은 물론 평화에 관심을 가진 모든 시민에게 유용한 책이 되기를 바란다. 평화학은 이론을 현장에 적용하고 그것을 통해 사회 변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학문이다. 그래서 책의 부제는 자연스럽게 '평화적 공존을 위한 이론과 실행'이 되었다. 책은 평화학에 대한 이해를 돕는 역할을 하지만 이해를 기반으로 구체적 실행을 고민..
-
선생님, 세계시민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해요?정주진의 책 2025. 2. 11. 14:33
2022년 1월 27일 출간 저자의 말 이 책은 세계시민이 관심을 가져야 할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주요 독자인 초등 고학년생들과 중학생들이 책을 읽고 생각해보길 바라는 점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는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 특히 많은 사람의 일상을 힘들게 하는 일, 그리고 그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도움의 손을 내미는 사람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길 바란다. 둘째는 전 세계가 연결되어 있고 한 곳의 결정이 다른 곳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이해하길 바란다. 셋째는 세계 곳곳의 문제에 공감하고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세계시민에 대해 생각해보고 스스로 세계시민이 되기 위해 노력해보길 바란다. 누구나 세계시민이 될 수 있지만 아무런 관심과 노력 없이 세계시민이 될 수는 없다. 출판사 서평 전 세계의 문제가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