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화학의 평화 접근평화갈등 이야기 /평화 2014. 3. 5. 00:00
평화학 강의를 하다 보면 가끔 세상만사가 결국 다 '평화'라는 큰 주제 안에 포함되는 것인지 의아해 하는 사람들을 만나곤 한다. 사실 평화, 그리고 평화에 도전이 되는 폭력의 문제를 언급하다 보면 한국 사회, 나아가 지구촌이 직면한 많은 문제들을 다루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내가 다뤄온 평화 현안들만 해도 작은 공동체 내의 폭력 문화와 갈등에서부터 사회의 구조적 문제와 경제 정의, 지구촌의 빈부 격차와 기후변화까지 종류가 다양하고 범위도 넓다. 그렇다면 평화학, 또는 평화 담론은 세상의 모든 문제를 다루려는 것일까? 또는 평화는 세상 모든 문제에 대한 해답일까? 대답은 'yes', 그리고 동시에 'no'다. 평화학, 또는 평화 담론은 세상의 많은 문제를 다룬다. 그래서 때로는 사회학, 개발학, 국제관계학..
-
모든 갈등은 대화로 해결?평화갈등 이야기 /갈등해결 2014. 2. 26. 00:00
한국사회에 갈등이 많다보니 '갈등해결'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도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갈등해결은 연구 영역으로서의 의미도 가지고 있지만 실천과 관련해서는 갈등에 직면한 당사자들이 마주 앉아 대화, 협력, 타협, 협상을 거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환경과 과정을 만들고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재판이나 상담처럼 제3자가 결정을 내려주거나 조언을 해주는 것이 아니고 당사자들이 해결책을 모색한 후 합의로 갈등을 끝내는 것이기 때문에 당사자들의 만족도는 당연히 높을 수밖에 없다. 이런 갈등해결의 핵심은 '당사자들'이 '대화'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간혹 갈등해결을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 오해는 어떤 갈등이든 당사자들이 대화를 하면 해결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이고 그것이 갈등을 해..
-
한국에는 없는 평화학평화갈등 이야기 /평화 2014. 2. 8. 00:00
평화학(Peace Studies)은 한국에는 없는 학문 분야다. 학문 분야가 있다는 것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하나는 대학에 학과에 개설돼 있어 체계적인 커리큘럼에 의해 전공자를 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하나는 연구자 집단이 형성돼 있어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뤄지고 연구 결과에 대해 비판적 평가와 토론이 이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두 가지 기본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므로 한국에는 평화학이라는 학문 분야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봐야 한다. 학문 분야로서 평화학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서 한국에서 평화 연구가 아예 이뤄지지 않는 것도, 평화학 과목이 개설돼 있지 않은 것도 아니다. 평화학 과목은 여러 학과에서 선택 과목으로 개설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평화학 전공자가 강의를 하는 경우가 아주 드물어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