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갈등 연구/평화
-
일상의 폭력과 녹색평화평화갈등 연구/평화 2015. 5. 4. 03:00
일상의 폭력과 녹색평화 정주진 들어가는 말 평화란 무엇인가? 흔한 질문이지만 가장 답하기 어려운 질문이기도 하다. 대중적인 시각에서 평화는 자칫 진보주의자들의 정치적 이념 구현이나 현실도피주의자들의 이상적인 세계를 압축하는 상징적 언어의 하나로 취급되기 쉽다. 학문적인 시각에서 평화는 전통적인 연구 영역이 가치 지향적이거나, 또는 영역 구분이 모호하다는 이유로 도외시했거나 적극적으로 채택하지 못했던 현안들에 대한 현실적인 접근을 모색하는 아류적인 연구와 현장 적용을 설명하는 신개념어 중 하나로 취급되기 쉽다. 전쟁의 예방과 평화의 비전, 무장 갈등(armed conflict)과 형식적(formal) 평화의 성취, 피스빌딩(peacebuilding)과 갈등해결(conflict resolution), 무장 ..
-
한국 교회와 평화 운동평화갈등 연구/평화 2015. 5. 4. 01:00
한국교회와 평화운동: 한계의 극복과 새로운 접근의 모색 정주진 평화의 진화 지난 10여 년간 한국사회에서 평화라는 단어의 쓰임새, 그리고 그와 관련된 활동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변화는 크게 두 갈래로 진행됐다고 볼 수 있다. 하나는 여전히 소수이기는 하지만 ‘평화’라는 단어를 수식어가 아닌 독립어로 쓰는 개인이나 집단이 생겨나고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들의 배경과 하는 일은 다양하다. 평화학 또는 평화갈등학을 공부한 사람들, 평화교육과 갈등해결교육에 전념하는 개인이나 집단, 평화를 주요 주제로 삼는 시민사회 단체들, 그리고 평화연구에 관심을 보이는 개인이나 대학 연구소들도 생겨났다. 학문 분야에서는 평화학 전공자들이 극히 드문 관계로 정식 연구 분야로 자리 잡지 못하고 극히 제한적인 접근만..
-
평화학이란평화갈등 연구/평화 2015. 5. 4. 00:00
평화학이란 정주진 평화학(Peace Studies)은 평화갈등학(Peace & Conflict Studies)이라고도 불린다. 평화학은 폭력을 규명하고 폭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방법과 사회적 조건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므로 평화 연구는 끊임없이 폭력을 찾아내 분석하며 폭력의 희생자를 줄일 방법을 모색한다. 평화학 수업이나 워크숍에서 평화보다는 다양한 폭력과 희생자에 대해 더 많이 얘기하게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갈등은 평화를 성취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인식된다. 갈등은 개인 또는 집단 사이의 파괴적 대립을 일컫기도 하지만 때로는 내전과 그에 준하는 무장 갈등을 말하기도 한다. 평화학이 특별히 주목하는 갈등은 사회의 구조적 억압, 다시 말해 폭력적 사회 상황에 의해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