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화교육과 자문
사람들의 태도와 행동이 변하지 않으면 평화로운 세상은 불가능하다. 모두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세상을 위해 폭력 대신 평화를 선택할 수 있는 태도와 행동을 교육하고 자문을 제공한다.- 평화교육의 목적
- 평화교육의 주제
- 평화교육의 방법
- 평화 자문
평화교육의 목적
평화교육은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춘다.
첫째는 평화를 삶의 가치로 삼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이것은 선택의 상황에서 폭력을 거부하고 평화를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평화를 삶의 중심에 놓고 폭력을 거부하는 것은 개인 및 집단 차원에는 물론 국가와 세계 차원에도 적용된다.
둘째는 평화의 가치에 기반한 관계 맺기의 태도를 가지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이것은 인종, 민족, 종교, 언어, 문화, 직업 등에 상관없이 모든 개인과 집단의 권리와 삶을 존중하고 선입견, 편견, 차별적 태도를 갖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런 태도는 관계에 내재돼 있는 모든 폭력을 거부하고 평화를 관계의 중심에 놓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셋째는 평화 성취를 위해 노력하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이것은 가족, 공동체, 사회, 국가, 세계의 폭력 종식과 평화 회복을 위해 행동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억압과 강요 등 폭력적 방법은 평화 성취에 기여하지 못하며 평화 성취를 위한 행동은 평화적 방법에 기초해야 한다.
가치, 태도,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평화 교육은 지속성을 가져야 하고 교육에 참여하는 개인과 집단의 이해 수준과 직면한 상황을 고려해 내용과 방법을 구상해야 한다. 때문에 평화교육은 참여자를 중심에 두고, 참여자의 이해와 재해석에 초점을 맞추며, 이를 위해 대화, 토론, 활동 등의 교육 방법을 선택한다. 교육자의 역할은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 주고, 참여자의 이해와 재해석을 도우며, 다양한 교육 방법을 통해 참여자들의 대화, 토론, 활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평화 교육의 효과는 폭력이 아닌 평화의 선택, 다툼이 아닌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 힘이 아닌 존중, 배려, 이해에 기초한 관계맺기 등을 통해 드러난다. 이런 변화는 평화 문화의 형성과 정착으로 이어진다. 평화 교육을 통한 가치, 태도, 행동의 변화는 다양한 개인과 집단의 평화로운 공존에 기여한다.평화교육의 주제
일상의 폭력과 평화 이해하기
- 평화와 폭력 이론의 이해
- 한국사회의 폭력과 평화 (혐오와 배제의 폭력)
- 지구촌의 폭력과 평화
- 종교와 폭력과 평화
- 세계 평화와 세계 시민의 역할
평화로운 인간관계 만들기
- 관계 속의 폭력과 평화
- 평화로운 관계를 위한 소통과 대화
- 평화로운 문제해결의 기술
- 다양성의 존중과 평화로운 공존
평화로운 공동체/조직 만들기
-공동체/조직의 폭력문화와 평화문화
- 평화로운 공동체/조직을 위한 소통과 대화
- 평화로운 공동체/조직을 위한 대화 서클 운영
한반도 평화 만들기
- 남북의 평화로운 공존과 화해
- 평화통일을 위한 대중 담론 형성
-한반도 평화와 개인 및 공동체의 안전과 평화
- 한반도 평화와 지구촌 평화
평화교육 진행자 훈련
- 평화교육의 이해
- 평화교육 디자인
- 평화교육 진행법평화교육의 방법
- 강의 (2~3시간) : 일회성 강의
- 워크숍 (3~4시간) : 참여형 교육
- 연속 프로그램 (5~10회, 또는 1~3일) : 강의, 토론, 워크숍을 결합한 심층 교육평화 자문
- 평화로운 공동체, 학교, 조직, 교회의 설계와 운영
- 평화 프로그램 설계와 운영
- 평화교육 진행자 교육'교육과 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엔 평화를 얘기해보세요!! (0) 2018.08.23 갈등해결교육과 자문 (0) 2015.05.02 강의 & 워크숍 요청 (0) 201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