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갈등을 어떻게 마주할 것인가평화갈등 이야기 /갈등해결 2021. 10. 29. 11:04
갈등을 대면하는 건 몹시 힘들고 두렵고, 때로는 불쾌한 일이다. 갈등을 마주하게 됐을 때 많은 사람이 하는 생각은 ‘왜 하필 지금 내게 이런 일이 생길까...’일 것이다. 흥미롭지는 않을지언정 평범하고 무난하게 하루하루를 살고 싶은 사람들에게 갈등은 초대받지 않은 손님과 같다. 부르지 않았는데 갑자기 내 안에 쑥 들어와 자리를 차지하니 말이다. 그런 갈등을 어떻게 마주해야 할까?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어떻게 갈등을 겪는 중에도 흔들리지 않고 일상을 이어갈 수 있을까? 갈등을 생각하면 불편함과 함께 이런 질문들이 들 수 있다. 갈등을 이해하고 갈등에 잘 대응하기 위해 다음 몇 가지를 기억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보편적이고 자연스러운 것
갈등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누구나 겪는 일이다. 전 세계 어디를 가든 갈등을 겪는 사람들, 집단들을 볼 수 있다. 물론 어느 정도인가가 핵심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누구나 갈등을 겪는다는 사실은 위안이 된다. 자신이 마주한 갈등 상황이 절대 특별하거나 자신이 이상한 게 아니기 말이다. 나아가 갈등은 자연스런 일이다. 개인과 집단 사이에서 생기는 갈등은 기본적으로 다름에서 비롯된다. 사람들, 그리고 그들이 만든 집단들은 저마다 특징이 있어서 서로 다를 수밖에 없고 그래서 정체성, 배경, 생각, 추구하는 이익, 세계관 등도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런 개인과 집단이 함께 존재할 때 부득이하게 생기는 것이 갈등이다. 그러니 갈등만큼 자연스런 인간사도 없다. 갈등에 직면했을 때 갈등이 누구나 겪는 보편적이고 자연스런 일이라는 점을 기억하면 당황스러움과 두려움을 떨쳐내는 데 도움이 된다.
불가피하게 생기는 갈등
갈등이 보편적이고 자연스럽게 생기는 일이라는 점은 곧 갈등이 불가피하게 생길 수밖에 없는 일임을 말해준다. 그런데 때로 ‘불가피성’은 단순히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 생각, 추구하는 것, 세계관 등이 다르다는 점을 뛰어넘는다. 생존을 위해,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누군가 문제를 제기하고 그 결과 갈등이 생기는 것이야말로 갈등의 불가피성을 잘 말해준다. 가족 안에서든, 직장에서든, 종교집단에서든, 사회에서든 마찬가지다. 이것은 보통 상대적으로 약한 개인이나 집단이 자신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 위험과 불편함을 야기하는 갈등을 감수하고 문제를 제기하는 상황을 말한다. 우리 주변에는 이런 이유로 생긴 갈등이 의외로 많다. 그런 갈등은 억제되지도 않는다. 상대적으로 강한 쪽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억눌러도 결국 생겨야 하는 갈등은 생긴다. 불안하고 힘든 상황을 끝까지 참는 사람은 드물기 때문이고, 누구나 보다 나은 삶을 원하는 인간의 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갈등에 직면하면 혹시 자신의 갈등도 그런 종류의 갈등이 아닌지 생각해봐야 한다. 만일 그렇다면 자신의 문제 제기와 저항으로 인해 잡음이 생기고 주변에 영향을 미친 갈등에 대해 자책하고 죄책감을 느끼는 데서 벗어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라면, 다시 말해 자신에게 누군가 문제를 제기하고 그 결과 갈등이 생긴 거라면 자기의 태도와 행동, 자기가 영향을 미친 상황 등을 돌아봐야 한다.
갈등을 기회로 만들 방법
불가피하게 갈등이 생겼고, 어차피 생겨야 할 갈등이 생겼다는 건 변화가 필요한 상황임을 의미한다. 의도하지 않았지만 대립과 갈등이 생긴 경우도, 변화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에서 의도적 문제 제기와 그로 인해 갈등이 생긴 경우도 마찬가지다. 모두 변화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에서 갈등이 생긴 것이고 그런 갈등에 잘 대응하면 변화의 기회가 생긴다. 그런 기회를 쉽게 놓쳐서는 안 된다. 갈등이 개인의 삶과 관계를 파괴하는 부정적 상황이 지속되게 두지 말고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게 갈등의 방향을 바꿔야 한다. 잘 대응하고 잘 해결해서 갈등 이전의 상황보다 손톱만큼이라도 나은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힘든 갈등을 겪는 의미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립이 아니라 대립이 생긴 이유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각자 취할 이익에만 몰두하지 말고 왜 그것을 원하는지 분석해 보고, 근본적으로 변해야 하는 관계나 구조, 나아가 문화의 문제까지 짚어봐야 한다.
'평화갈등 이야기 > 갈등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거와 참여적 정책 결정 (0) 2022.06.13 불균형적 관계의 갈등 (0) 2022.01.25 직장 동료와의 갈등-해결책 합의와 재협상 (0) 2021.06.10 갈등이 아니다? (0) 2021.03.19 직장 동료와의 갈등-해결을 위한 대화 (0) 2020.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