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책 <정주진의 평화특강>활동 소식 2019. 11. 26. 10:52
기성세대, 청년, 그리고 10대 후반을 위해 쓴 두 번째 평화 대중서다. 이전의 책 <평화를 보는 눈>이 평화를 얘기할 때 반드시 다뤄야 할 주제들에 대한 것이었다면 이번 책은 우리 사회와 그 안에 살고 있는 우리가 매일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평화의 시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우리가 '유감'스러운 일로 넘기거나 '불가피성'이란 단어를 들이대며 위안을 삼았던 문제들을 왜 평화의 시각으로 해석해야 하는지, 우리가 특정 문제에 왜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 관심이 결국 누구에게 향해야 하는지 등을 성찰하는 책이다. 혼자서, 또는 여럿이서 함께 읽고 우리 사회는 물론 각자의 일상을 성찰해보는 기회를 제공하는 책이 되길 기대한다.
목차
머리말: 함께 사는 평화로운 세상에 대한 상상과 실천
1강. 누가 가해자이고 누가 피해자인가
평화를 얘기한다는 것
인간성 상실과 회복의 문제
폭력 없는 사회의 비현실성?
가해자도 피해자도 되지 않기
2강. 가짜뉴스의 공격, 무엇을 노리는가
가짜뉴스의 시대
폭력의 도구가 되는 가짜뉴스
문화적 폭력의 위험성
문화적 폭력의 피해자
3강. 난민은 왜 밉상이 되었는가
난민, 최악의 ‘이방인’이 되다
난민과 무슬림, 만나본 적은 있는가
무엇이 호감과 혐오를 결정하는가
혐오할 자유는 있는가
혐오하기 쉬운 사회, 안전한가
4강. 국가 폭력, 합법성을 감시하라
‘국익’을 위해 제외된 사람들
국가 폭력과 구조의 악용
합법성의 이름으로
국방의 의무와 강제징집
5강. 한반도에 평화는 올까
우리는 한반도에 산다
전쟁, 학살, 이념 대결의 땅
한반도의 계속되는 중무장화
평화적 공존으로 가는 길
6강. 폭력사회의 평화문화
피해를 주는 폭력, 만족을 주는 폭력
힘을 숭배하는 사회
폭력문화와 평화문화
왜 평화문화를 얘기하는가
7강. 민족주의와 보편적 평화
일본의 비극이 우리의 기쁨?
경계해야 할 민족주의
평화로운 공존을 해치는 민족주의
보편적 평화와 민족주의
8강. 쓰레기와 먹방
필리핀으로 간 쓰레기
쓰레기가 만들어내는 부정의
먹방이 보여주는 소비 방식
무한 소비의 무한한 영향
9강. 우리의 평화, 세계의 평화
방글라데시 의류 노동자와 우리의 삶
로힝야족 학살과 국제사회
팔레스타인의 고통과 국제사회의 책임
세계시민으로 살기'활동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화통일 사회적대화 참여 (0) 2021.01.19 한반도평화 친선대사 위촉 (0) 2021.01.14 새 책 <10대와 통하는 평화통일 이야기> (0) 2019.09.04 평화.통일교육 (0) 2019.03.11 북 콘서트와 작가와의 만남 (0) 2018.09.20